전림선 암, XAI 기술로 빠른 진단 후 치료가능

박정민 기자 / 기사승인 : 2020-08-04 11:14:12
  • -
  • +
  • 인쇄
임상 적용 시 유의한 전립선 암 예측률 95%

 

 

▲(제공=보라매병원) 보라매병원 비뇨의학과 정 현 교수

[세계타임즈 박정민 기자] 중년 남성을 위협하는 전립선 암을 막을 대안으로 빠르게 전립선 암 예측이 가능한 XAI(설명 가능한 인공지능)모델이 개발돼 화제이다.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비뇨의학과 연구진이 개발한 XAI모델은 결과에 대한 판단의 근거를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시하는 인공지능을 말한다. 기존의 AI와 달리 XAI는 판단의 불확실성을 해소해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정확한 진단을 필요로 하는 의료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보라매병원 비뇨의학과·서울대병원 교수 연구팀(제1저자 서울대병원 입원의학센터 서준교 교수, 교신저자 보라매병원 비뇨의학과 정 현 교수)은 2009년 3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보라매병원에 방문해 전립선 조직 검사를 받은 2,843명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립선 암을 예측하는 AI 알고리즘을 개발한 뒤, 948명의 데이터를 무작위로 대입해 진단의 효과성을 분석했다.

 

 

AI 모델은 환자의 나이와 전립선 용적률, 초음파 및 혈액 검사 결과 등 전립선 암 진단에 활용되는 지표들을 이용해 개발됐으며, 예측의 정확성은 AI 모델의 성능을 나타내는 ROC 곡선 아래 영역(AUC)의 크기로 판단했다. 일반적으로 AUC 값이 1인 경우에는 예측이 100% 정확한 것으로 본다.
 

▲ AI의료기술 관련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

연구진은 연구 결과 AI 모델의 전립선 암 예측 정확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 전립선 암 예측률은 약 87%(AUC=0.869)로 나타났으며, 특히 임상적으로 유의한 전립선 암의 예측률의 경우 95%에 이르는 높은 수치가 확인돼(AUC=0.945) 연구진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해 전립선 암을 효과적으로 진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연구의 교신저자인 정 현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비뇨기과학술지인 '영국 비뇨기과학회지(BJU International)'에 지난 5월 게재됐다"라며 "특히 이번 연구에 활용된 XAI 기술은 판단의 이유를 의료진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실제 임상 적용 시 진단의 명확성에 있어 높은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