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 10명 중 8명이 50·60대 여성은 10명 중 1명 비율
이번 공천에서 현역 의원의 물갈이 비율은 35.1%를 기록했다. 공천장을 받은 후보 평균 연령은 58.1세이고, 전체 후보의 88.1%는 남성이었다.주류인 친윤(친윤석열) 후보들이 현역 의원 위주로 강세를 보인 가운데 공천장을 받아 든 용산 대통령실 참모는 예상보다는 적었다는 평가다.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회는 전체 254개 중 252개 지역구 후보를 확정했다.아직 공천이 완료되지 않은 지역구는 도태우, 장예찬 등 기존 후보의 공천을 취소한 뒤 새 후보가 결정되지 않은 2곳(대구 중·남구, 부산 수영)이다.현역 의원들의 생사도 모두 결정됐다.지역구 91명, 비례대표 23명 등 총 114명 가운데 공천장을 받아 생환한 의원은 74명이다.불출마나 경선 포기를 결정한 의원은 19명, 컷오프·경선 패배·공천 취소 등으로 낙천한 의원은 21명이다.114명 중 40명이 공천을 못 받아 현역 교체율은 35.1%를 기록했다.공관위가 애초 제시한 목표 35%를 달성한 것이다.21대 총선 때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 현역 교체율 43.5%보다는 10%포인트 가까이 낮다.공관위는 이번 총선을 앞두고 다선 중진을 대상으로 한 인위적 물갈이보다는 경쟁력 심사와 경선 등에 주력하는 시스템 공천을 진행했다.본선 경쟁력에 주안점을 둔 결과 3선 이상 중진보다 초·재선이 더 많이 교체됐다. 3선 이상 중진은 32명 중 7명이 공천을 받지 못해 교체율이 21.9%였고, 초·재선은 81명 중 33명이 공천을 못 받아 교체율이 40.7%였다.공천받은 후보 252명의 평균 연령은 58.1세였다.전체 후보 중 절반에 가까운 47.2%(119명)가 60대였다. 50대는 33.3%(84명)를 차지했다. 후보 10명 중 8명 비율로 '5060'인 셈이다. 70대도 11명 있었다.
40대는 29명, 30대는 9명이었다.최연소는 경기 포천·가평의 김용태(34) 후보, 최고령은 전남 해남·완도·진도의 곽봉근(79) 후보다.성별로 보면 252명 중 88.1%인 222명이 남성, 11.9%인 30명이 여성이었다.후보들의 면면을 보면 친윤 강세가 뚜렷했다.일찌감치 불출마를 결단한 장제원 의원을 제외하면 핵심 친윤으로 불리는 권성동(강원 강릉), 이철규(강원 동해·태백·삼척·정선), 윤한홍(경남 창원 마산회원) 의원 등은 모두 단수 공천을 받았다.작년 전당대회 때 나경원 전 의원의 당 대표 출마를 공개적으로 반대한 박성민(울산 중구) 의원 등 이른바 연판장 초선들도 대부분 공천을 받았다.공천을 신청한 용산 대통령실 출신 인사 중 수석·비서관급 핵심 참모들은 대부분 본선행을 확정했다.주진우 전 법률비서관(부산 해운대갑), 강승규 전 시민사회수석(충남 홍성·예산) 등이 단수 공천됐고, 이원모 전 인사비서관은 경기 용인갑에 우선추천(전략공천)됐다.김은혜 전 홍보수석(경기 성남 분당을), 강명구 전 국정기획비서관(경북 구미을), 김기흥 전 부대변인(인천 연수을)은 경선에서 승리했다.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