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의원은 먼저 농림축산식품부가 벼멸구 피해를 농업재해로 인정한 것에 대해 언급하며, 피해 농가들을 위한 신속하고 철저한 행정 절차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올해 기후변화로 인해 다양한 농업 피해가 발생했으며, 특히 벼멸구 피해는 군의 초기 대응 부재로 인해 확산된 부분이 크다고 지적했다. 신 의원은 "우리 군이 농촌진흥청이 발간한 ‘농작물 병해충 위기 대응 실무 매뉴얼'에 따라 초기 단계부터 철저히 대응했더라면 피해를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며 아쉬움을 표했다. 또한, 순창군 농업기술센터의 홈페이지 자료 미흡을 지적하며, 정부 사이트를 활용한 타 시군의 홈페이지처럼 이상 기후에 대비할 수 있는 기상 상황 및 전망 정보 등의 제공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신 의원은 2017년에 건립된 순창군 친환경농업연구센터의 운영 성과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 성과가 미흡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상 기후로 인한 농업 재해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연구·개발의 성과를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신 의원은 마지막으로 "순창군 친환경농업연구센터는 FTA 시대를 대비해 건립된 만큼, 지속 가능한 친환경 농업을 위한 연구와 개발에 본연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며, 순창군의 친환경 농업 발전을 위한 정책적 개선을 요청하며 5분 자유발언을 마쳤다.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