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청·용 삼각축 구축해 반도체 메카로… 사업은 물론 사회에 기여하는 회사로 발전”
[세계타임즈 = 송민수 기자] SK하이닉스 곽노정 대표이사 사장이 창립 40주년을 맞은 10일 “그동안 범용 제품(Commodity)으로 인식돼 왔던 메모리 반도체를 고객별 차별화된(Customized) 스페셜티(Specialty) 제품으로 혁신해 가겠다”고 회사의 미래 전략을 제시했다.
곽 사장은 사내방송을 통해 방영된 ‘SK하이닉스 창립 40주년 특별대담’에서 이같이 밝히며, “(범용 제품 중심의) 과거 방식을 벗어나서 고객을 만족시키는 회사만이 살아남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본격적인 AI 시대로 접어들며 인공지능의 학습 범위가 확장되고, 빅테크 기업들이 메모리 반도체에 요구하는 스펙이 다변화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SK하이닉스는 HBM3를 세계 최초로 양산하고, 세계 최고 사양 HBM3E도 개발하면서 AI 메모리 분야를 주도하고 있다.
그간 메모리 사업은 D램과 낸드플래시 모두 기술 개발을 해내고, 빠르게 양산 체제를 갖춰 고객에게 대량으로 제품을 공급하는 소품종 대량생산 체제였다. 최근 메모리 솔루션 분야가 발전하면서 일부 영역에서 고객 맞춤형 기술 개발을 해오긴 했지만, 산업의 주류는 여전히 범용 제품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챗GPT 등 생성형 AI가 등장하면서 인공지능의 기술 발전 속도가 빨라지는 가운데, 빅테크 기업들의 AI 서비스는 회사별로 차별화될 것이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즉, 고객마다 자사가 목표로 하는 인공지능 서비스의 형태가 다양해지고, 이에 따라 AI 학습을 진행하는 방식도 제각각 달라지므로 회사마다 필요로 하는 메모리의 스펙도 다변화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런 흐름에 맞춰 내년에 양산될 예정인 HBM3E 이후에는 초기 단계부터 AI 사업을 하는 고객과 긴밀한 협업 속에 메모리 스펙을 구성해야 하고, 설계 및 생산 방식은 물론 마케팅 등 산업 전반에 큰 변화가 수반될 것이라고 곽 사장은 내다본 것이다.
그는 “메모리는 계속해서 고객의 요구에 맞춰 차별화돼야 하고, 이것이 우리를 성장시키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는 고객이 원하는 스페셜티를 먼저 파악해야 하며, 이러한 변화가 우리에게 큰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곽 사장은 기존 이천, 청주 사업장과 함께 2027년 SK하이닉스의 용인 클러스터 첫 번째 팹이 가동에 들어가면 회사는 세 지역을 삼각축으로 지역별 생산 최적화 체제를 갖추면서 사업 효율성을 높여 가겠다는 뜻을 밝히며 “삼각축이 완성되면 SK하이닉스는 이·청·용(이천, 청주, 용인)을 기반으로 세계적인 반도체 메카가 될 것”이라고 포부를 드러냈다.
이어 반도체 미래 기술과 관련해 그는 메모리와 CPU, 시스템 반도체 간 경계가 없어지고 기술적인 융합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그는 “미래에는 기술이나 제품 말고도 우리 주변을 잘 살피고 더 나은 세상으로 나가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곽 사장은 “넷제로(Net Zero), RE100 등 환경을 생각하는 회사가 되는 한편, 사회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을 고민하며 거버넌스(회사의 지배구조) 체계도 더 고도화해야 한다”며, ESG 경영에 힘쓰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아울러, “최근 나온 보고를 보면 글로벌 기업들의 평균 수명이 15년에 불과하고, 앞으로는 더 줄어들 전망”이라며 “40년을 이어온 우리는 충분히 뿌듯한 마음을 가져도 되지만, 한편으로는 앞으로 해야 할 일이 더 많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끝으로 곽 사장은 40년 역사를 가능하게 해준 구성원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며 “우리 모두가 원팀, 원컴퍼니로 최고가 되어 왔다.시장을 선도하며 존경받는 회사, 1등 회사가 되는 것이 우리의 방향”이라고 역설했다.
한편, 창립 40주년 특별대담에는 곽노정 사장과 함께, 회사에 30년 이상 근속하면서 올해 ‘SK하이닉스 1호 마스터’에 오른 마경수 기성(제조/기술 소속), 1983년 10월 회사 창립과 함께 태어난 손애리 TL(D램개발 소속), 2023년 신입사원 임서현 TL(낸드개발 소속) 세대별로 상징성을 가지는 구성원 3명이 참여했다.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