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세계타임즈 한성국 기자] 대구광역시의회 김대현 부의장(건설교통위원회, 서구1)이 대구시를 향한 시정질문을 통해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국가적, 산업적 관심이 의료바이오산업에 집중된 현 상황을 정책적으로 활용하여 지역 첨단의료복합단지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대구시가 체계적 전략을 수립할 것을 촉구했다.
김대현 부의장은 제278회 임시회 기간 중 코로나19의 위기를 첨복단지의 새로운 도약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를 위한 방안을 서면질문을 통해 대구시에 제안했다.
김 부의장은 먼저, 의료바이오 대기업들이 대구와 오송이 아닌 인천송도에 투자를 집중하고, 전남이 첨복단지의 추가지정을 요구하는 등의 현 상황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이로 인해 관련 연구개발예산과 투자가 분산되고 클러스터화를 이루지 못하게 되면 당초 첨복단지 사업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게 될 것이라고 내다본 것이다.
김 부의장은 이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첨복단지를 유치한 오송과 긴밀히 연대해 의료・바이오산업 투자가 집중될 수 있도록 하고, ▲지역에 강점이 있는 로봇산업과 연계하여 성장추세가 높은 수술용 로봇시장에 주목해야하며, ▲코로나19로 인해 의료바이오산업에 국가적 관심과 역량이 집중된 상황을 정책적으로 활용하여 중장기 계획을 세우고 예산을 마련할 것을 대구시에 요구했다.
김대현 부의장은 “첨복단지가 144개 의료기업을 유치하고, 첨복단지로 본사를 옮긴 63개사 매출액이 2019년 기준 3천385억원에 이르는 등 적지 않은 성과를 내고 있다.”고 전제한 후, “하지만, 사업유치 시 홍보했던 기대효과 45조원, 파급효과 82조원, 고용창출 38만명 등의 수치와 시민들의 눈높이를 충족시키기에는 크게 부족하다.”고 질타하면서, “이번 서면질문을 통해 대구시가 첨단의료복합단지 사업의 성공을 위해 더욱 노력하고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