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동환 시장 “행정수요 급증으로 대도시 부담 가중…현실적 개선 시급”
[고양시 세계타임즈=송민수 기자] 대한민국대도시시장협의회(회장 이강덕 포항시장)는 지난 25일(목) 고양특례시 킨텍스에서 개최된 제7차 정기회의를 통해 “지자체의 유연하고 탄력적인 조직 운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기준인건비 제도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데 뜻을 모으고, 행정안전부와 협력을 통해 제도 개선을 지속적으로 건의해 나가기로 했다.
기준인건비는 지방자치단체가 인력을 운영할 때 투입할 수 있는 비용의 한도로, 인구·면적·산업·농경지·외국인 등 9개 행정지표를 기초로 산정된다.
하지만 최근 복지, 안전, 기후 위기 등 대도시 행정수요가 급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준인건비 산정 방식은 이러한 변화된 현실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협의회의 공통된 문제 인식이다.
또한, 2025년부터 기준을 초과할 경우 재정 페널티가 부과되면서 지자체 재정에 부담을 주고, 이는 곧 시민에게 제공되는 행정서비스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신도시 개발 등으로 인해 인구와 행정 수요가 급증한 지역의 경우, 정원 확대나 인력 충원이 제도적으로 어려워 행정서비스 지연이나 민원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실질적인 대응 방안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협의회는 행안부가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현실적인 개선책을 마련해 줄 것을 기대하며, 앞으로도 대도시 간 협력과 공동 대응을 통해 제도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기준인건비 제도가 변화하는 행정환경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채 운영되면서, 대도시의 행정 부담이 점차 커지고 있다”며, “중앙정부가 현장의 의견을 반영한 유연한 제도 운영 방안을 함께 고민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협의회도 지자체 간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와의 소통과 건의를 지속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협의회는 이번 회의를 계기로 지방정부가 보다 능동적이고 유연하게 조직을 운영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돼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이뤘으며, 앞으로도 대도시 간 협력과 논의를 이어가며 제도 개선을 위한 공동 대응을 계속해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