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는 광주형일자리 ㈜광주 글로벌모터스 성공을 위해
끝까지 책임을 다할 것을 촉구한다>
- 산업건설위원회 성명서 -
광주형일자리에 노동계의 대표격으로 참여해온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가 지난 3월 12일 운영위원회를 통해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가 결의한 ‘투자유치 협약서’를 파기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지난 해 8월 ㈜광주 글로벌모터스 법인 설립이후 지금까지 노동계가 제시한 요구가 어느 것 하나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어 더 이상 광주형일자리로 볼 수 없다는 것이 파기를 결정한 이유다.
노동계는 광주시와 글로벌모터스에 노동이사제 도입, 원·하청 관계 개선 시스템 구축, 임원 임금 노동자 2배 이내 책정, 현대차 추천이사 경질, 시민자문위원회 설치 등을 요구해왔다.
하지만 광주시와 글로벌모터스는 이에 대한 아무런 답변도 없이 지난해 12월 공장착공식을 진행하였고 지난 3월 4일 노사민정협의회에 실무자를 파견해달라는 불성실한 공문을 한국노총 측에 전달하여 더 이상 협상의 여지가 없는 것으로 받아들이게 하였다.
광주형일자리 사업은 지난해 광주시민이 뽑은 가장 관심있는 핵심사업 1위에 선정될 만큼 광주시민의 기대가 큰 사업이며 특히, 안정된 일자리를 바라는 광주의 청년들에게 미래희망이 되고 있는 사업이다.
또한 경제 구조개선, 일자리 불평등해소 등을 통해 우리나라 경제의 활로를 여는 혁신적 대안으로 전국적인 관심도 또한 높으며 지역상생형일자리에 세금이 지원될 수 있도록 국가균형발전법 개정까지 이끌어 온 사업이다.
노사상생형일자리의 첫 적용회사인 글로벌모터스가 이대로 현대자동차 자회사로 멈춘다면 이후 광주형일자리의 추진은 실패로 돌아갈 위험이 크다.
우리시의회는 그동안 현대자동차합작법인 회사가 ‘적정 임금’ ‘적정 노동시간’ ‘노사 책임경영’ ‘원·하청 관계 개선’이라는 광주형(상생형) 일자리 4대 원칙이 제대로 적용되어야 함을 지속적으로 지적해왔다.
지난해 ㈜광주 글로벌모터스 법인이 설립되는 과정에서도 광주시가 1대주주로서 적절한 대표이사를 선임하고 노사민정협의회를 정상화하여 책임 있는 역할을 다 해야 함을 촉구한 바 있다.
광주형일자리를 성공으로 이끌 책임은 그 누구도 아닌 이용섭시장과 광주시에 있다.
광주시의회는 광주시가 지금이라도 노동계와 적극 협의하여 광주글로벌모터스가 사회적대타협에 기반한 노사상생형일자리로 추진될 수 있도록 모든 책임을 다 하기를 촉구한다.
또한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에도 협약파기 선언에 앞서 다시 한 번 광주형일자리 성공을 위해 인내심을 가지고 광주시와 협의에 임해줄 것을 광주시민을 대표하여 부탁드린다.
우리 시의회도 광주 글로벌모터스가 광주형일자리의 첫 성공사례가 되도록 끝까지 노력할 것을 광주시민들께 약속드린다.
[광주=세계타임즈 손권일 기자]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