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메달 5개·은메달 8개·동메달 4개로 2010 밴쿠버 메달 14개 경신
-총 메달 수 순위로는 OAR과 공동 6위
-빙속·쇼트트랙 쌍끌이에 스키·스켈레톤·컬링·봅슬레이 4개 종목도 메달 보태기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에서 열린 동계올림픽에 북한이 참가하면서 평창동계올림픽은 평화와 화합의 올림픽 정신을 가장 잘 보여주는 평화올림픽으로 역사에 남을 전망이다. 한반도기를 앞세워 개막식에 공동입장한 남북 선수단의 모습에 온 관중이 감동했고, 빙판의 작은 통일을 이뤄냈다고 평가받는 여자아이스하키 단일팀은 경기마다 경기력과 상징을 넘어선 뭉클함을 선사했다.
17일간의 동계 스포츠 열전으로 전세계 젊은이들의 꿈과 열정이 뿜어진 2018평창동계올림픽이 25일 밤 진행된 폐회식으로 막을 내렸다.
대한민국 선수단은 이 안방에서 열린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역대 동계올림픽 최다 메달을 수확하고 종합순위 7위에 올랐다.한국은 금메달 5개, 은메달 8개, 동메달 4개를 획득해 모두 17개의 메달로 대회를 마감했다.
우리나라는 일본(금 4·은 5·동 4)과 중국(금 1·은 6·동 2)보다도 좋은 성적을 올려 아시아 1위를 차지했다.
전체 메달 수는 2010년 밴쿠버 대회에서 따낸 14개(금 6·은 6·동 2)를 훌쩍 넘어섰다.
우리나라는 4년 전 소치 대회에서 획득한 메달 8개(금 3·은 3·동 2)의 2배가 넘는 메달을 안방에서 땄다.
역대 최다인 17개의 메달을 획득한 한국은 총 메달 수로 따진 국가별 순위에서는 OAR(러시아에서 온 올림픽 선수)와 공동 6위에 랭크됐다.
종합순위는 금메달 6개, 은메달 3개, 동메달 2개를 따낸 2006년 토리노 대회 때와 같다. 역대 최고 순위는 밴쿠버 대회에서 달성한 5위다. 특히 스피드스케이팅, 쇼트트랙 등 효자 종목에서 메달을 쓸어 담고 스키(스노보드), 스켈레톤, 컬링, 봅슬레이로 메달밭을 확장한 것은 그야말로 큰 소득이 아닐 수 없다.
한국이 동계올림픽 6개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종전에는 3개 종목에서 메달을 딴 게 최고였다.
'배추 보이' 이상호(23)는 스노보드 평행대회전에서 은메달을 따내 올림픽 도전 58년 만에 한국 스키의 첫 메달을 목에 걸었다.
선수 5명 전원이 김 씨 성을 지닌 '팀 킴' 여자 컬링 대표팀은 25일 강원도 강릉 컬링센터에서 열린 결승에서 스웨덴에 3-8로 아쉽게 패해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4년 전 소치 대회에서 처음으로 올림픽 무대를 밟은 여자 컬링 대표팀은 두 번째 출전인 평창올림픽에서 그야말로 돌풍의 팀으로 세계인의 시선을 붙잡았다.
예선에서 8승 1패를 거둬 1위로 첫 4강 진출의 쾌거를 이룬 데 이어 여세를 몰아 결승에도 올라 세계적인 스타로 우뚝 섰다.
남자 봅슬레이 팀도 이날 4인승에서 1∼4차 주행 합계 3분 16초 38로 독일 팀과 함께 공동 은메달의 쾌거를 이뤘다. 윤성빈(24·강원도청)은 남자 스켈레톤에서 금메달을 획득해 우리나라는 물론 아시아 선수 이 종목 첫 메달리스트라는 기록을 남겼다.
스피드스케이팅은 매스스타트 이승훈(30·대한항공)의 금메달 1개를 필두로 은메달 4개, 동메달 2개 등 이번 대회 한국 선수단에서 가장 많은 메달 7개를 합작했다.2관왕 최민정(20·성남시청)을 앞세운 쇼트트랙은 금메달 3개,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를 따내 세계 최강에 걸맞은 성적을 냈다.
금메달 수는 2006 토리노·2010 밴쿠버 대회(이상 6개)보다 1개 모자랐지만, 전체 메달의 증가와 종목 균형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한국 동계스포츠는 큰 성공을 거뒀다.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