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만 의원, “원자재 가격 상승 대항하는 조정 제도 필요”

이영진 기자 / 기사승인 : 2021-01-15 16:40:51
  • -
  • +
  • 인쇄
원부자재 생산 대기업은 호황 중소기업은 고통 호소
- 납품 단계에는 조정 제도 있으나 원자재 구입 단계는 조정 불가
- 이성만 의원 “원가 상승 빌미로 폭리 취할 때 정부가 중소기업 보호할 수 있어야”
- 권칠승 장관, 제도 미비 인정“상생법 개정 등 검토하겠다”


  [세계타임즈 이영진 기자]급격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중소기업 피해를 줄이기 위해 원자재 구매 단계에서도 정부가 개입하는 조정제도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이성만(더불어민주당·부평갑) 의원은 21일 중소벤처기업부 종합감사 질의를 통해 “원가 상승 빌미로 대기업이 폭리 취할 때 정부가 중소기업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10월 현재 원유가는 배럴당 80달러 수준으로 코로나19 판데믹 이전 배럴당 60달러 수준을 넘어섰다. 최근 골드만 삭스 등 투자은행은 수요 대비 공급부족이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을 하며 유가 전망을 90달러 선까지 상향했다.

글로벌 철강 가격은 지난해 11월 이후 상승세를 유지하다 올해 2분기 급등했고 현재 중국 전력난에 따른 수요 감소로 소강상태에 있다. 국내 철근 가격은 작년에 평균 톤당 64만원 수준에서 10월 현재 121만원까지 상승해 2배 가까이 오른 상태이다.

이 여파는 고스란히 중소기업에 전가되고 있다. 지난 7월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실시한 중소기업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제품 생산 시 주로 쓰이는 원자재 89.9%가 작년 말 대비 상승했고 평균적으로 33.4% 올랐다고 응답했다. 이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1분기 매출이 감소한 기업은 49.6%, 영업이익이 감소했다는 기업은 87.4%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반해 원부자재 생산기업은 호황이다. 상기 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이 주로 쓰는 원자재의 34%가 철강인데 대표적인 철강 생산기업인 포스코 제품 가격을 보면, 열연 가격은 작년 톤당 평균 57만원에서 올해 3분기 109만원으로 올랐고 냉연 가격은 65만원에서 112만원으로 두 배 가까이 상승했다.

포스코 영업이익도 엄청난 폭으로 증가했다. 2020년 상반기 4581억원이던 수준에서 올해 상반기는 2조6810억. 3분기는 분기 실적 중 사상 최대로 3조1100억원을 찍을 것으로 집계되었다.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