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덕도신공항의 관문 공항 위계와 물류허브 완성을 위한 통합 LCC 본사 부산 유치 필요성 강조
◈ 가덕도신공항 29년 개항이 발표되었음에도 통합 LCC 본사 유치에는 미온적인 정부와 부산시의 태도 지적
◈ 부산 거점 항공사이자 지역발전에 이바지하는 에어부산의 수도권 유출 방지 대책 촉구
◈ 국토부의 2029년 가덕도신공항 개항 발표에 따른
[부산 세계타임즈=이용우 기자] 부산광역시의회 서지연 의원(건설교통위원회)은 미래 사회를 준비하는 시민공감과 가덕허브공항시민추진단과 함께 부산시 관계자, 시민단체, 학계 대표와 통합 LCC 본사 부산 유치를 위한 범시민토론회(4월 17일 오전 10시 부산시의회 중회의실)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해당 토론회는 국토부가 지난 3월 14일 발표한 가덕도신공항 29년 12월 개항 목표에 맞춰 차질 없이 개항을 준비하기 위한 부산시의 과제와 함께 정부와 부산시의‘통합 LCC (저비용항공사) 세컨드 허브 구축’ 이행 촉구를 바탕으로 지역 거점 항공사인 에어부산의 수도권 유출 방지 대책을 마련하고자 개최되었다.
통합 LCC는 현재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의 통합 이후 이들 회사의 자회사인 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울이 통합한 회사를 말한다.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초기부터 에어부산을 존속 브랜드로 두고 김해공항을 통합 항공사의 베이스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은 부산 상공계에서도 제기된 바 있다. 윤석열 정부에서도 산업은행 이전과 함께 LCC 통합 본사 부산 유치 과제가 다뤄져 왔지만 지난해 대한항공이 에어부산, 에어서울, 진에어 통합 LCC 본사를 인천에 두겠다 밝히고 정부 및 지자체의 별다른 대응이 없는 상황에서 사실상 무산 수순을 밟고 있다.
서지연 의원은 토론을 통해 국토부의 가덕도신공항 2029년 12월 개항 발표 이후에도 소극적이고 미온적인 태도로 통합 LCC(저비용항공사) 세컨드 허브 구축에 대해 분명한 입장을 밝히지 않는 정부와 부산시의 태도를 지적했다.
그는 “지역 소멸을 마주한 현재, 부산의 통합 LCC 유치는 지역 균형발전 관점에서도, 동남권의 입장에서도 사활이 걸린 중요한 문제”라며“가덕도신공항이 건설되기로 한 상황에서 신공항을 거점으로 한 항공사가 없다면 동남권 신공항이 제대로 기능하기 어렵다.”라고 강조했다. 더하여 “항공산업은 1,000명 이상 대규모 고용을 할 정도로 규모가 크고, 고연봉, 고성장을 거듭한 산업이다. 특히 에어부산은 지역민의 열의와 지자체의 의지가 중심이 돼 설립된 항공사답게 지역경제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부산의 청년 인재 유출 및 일자리 창출 측면에서도 반드시 가덕도신공항과 함께 시행해야 할 과제이지만 부산시나 정부는 여전히 이 사안을 별개로 바라보며 미온적 태도를 보인다.”라며 정부와 부산시의 태도를 강도 높게 지적했다.
본 토론회를 공동주최한 이지후 (사)미래사회를 준비하는 시민 공감 이사장은“에어부산이라는 좋은 항공사를 수도권에 뺏길 위기에 놓였지만 상공계를 포함한 여야 정치권도 움직이지 않고 있다”며“오늘의 이 자리를 통해 부산시와 상공계, 여야 정치권은 통합 LCC의 본사를 부산에 유치하기 위한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본 토론회에는 국립경상대학교 최만진 건축공학교수가 좌장을 맡고 서지연 부산시의원, 부산시 관계자, 박선미 사회자본연구소 대표, 김영주 서부산시민협의회 대표, 원동화 부산제일경제 편집국경제산업팀 기자가 참석했다.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