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세계타임즈 |
하지만 1987년 민주화항쟁 민주주의를 노래하며 외쳤던 그들은 역사 저편으로 사라졌지만 다시 역사로 기록되어 이번 영화로 부활했다. 그것이 1987 영화이다. 이 영화의 전개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과 6월 항쟁 그리고 1980년 광주민주화 항쟁까지 회상하게 만들었다.
그렇다면 1987 시대물 영화에 대해서 알아 볼 필요가 있다. 남영동 대공분실의 불법 고문수사를 총지휘한 치안감 박처원(김윤석 분)이다. 그는 ‘빨갱이’를 서슴없이 때려잡는 명분으로 월남한 자신이 북한에서 겪은 아버지와 어머님 그리고 누이동생이 처참하게 대창으로 죽음을 당했다는 비극적 가족사를, 이 영화 속에서 강조했다. 이 영화에서 작가와 감독이 어떠한 메시지를 전해주고자 했을까!
지난 과거 우리는 6.25사변 이후 ‘빨갱이’라는 단어를 반공주의 틀에서 같은 민족과 국민을 억압하고 통제했다. 과연 왜 우리는 굴레에서 아직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인가! 오늘날에도 촛불과 태극기 집회가 종속되어 이어가고 있다. 이 영화는 반공주의와 민주주의에 대하여 올바른 시사점을 던지고 있다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이 영화는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이라는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됐다. 박종철고문치사사건은 한국 민주화 역사에서 절대 잊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사건의 요지이다. 이것으로 인해 민주화는 꽃을 피우고 시발점이 되었기 때문이다. 1987 영화 속에서 박종철고문치사사건의 진실을 파헤치는 의로운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누가 주연이라 할 수 없는 만큼 필자가 생각하는 건데 주연과 조연은 따로 없었다.
검찰계와 경찰내부 그리고 교도관으로 등장하는 인물들 역시 민주화를 갈망하는 사람들이라는 점이다. 그들 역시 군사독재 앞에서는 말은 못했지만 진정한 민주화를 갈망하는 내면의 모습도 보여주어 무언가 뭉클함이 내 심장과 맥박 속에 파도처럼 밀려왔다.
특히 이 영화에서 등장한 인물들이 있다. 박종철의 시신 화장 동의를 거부하여 부검을 밀어붙여 모든 사건의 진실을 파헤친 서울지검 최검사(하정우 분) 역의 모태가 되었던 실존인물 최환 검사이며, 또 교도소에서 서신을 전달하는 교도관 한병용(유해진 분)은 한재동 교도관이다. 뿐만 아니라 사건 진실을 담은 교도소 서신을 내보내는 민주주의를 노래하는 재야 인사 이부영(김의성 분) 역의 이부영씨이고 고 박종철 열사의 친형인 박종부씨 그리고 대학생들이 시위를 할 때 시위도중 이한열 열사 최루탄 피격 사건이 발생하게 된 것을 다시 영화 속 스토리텔링으로 전개했다.
이한열 역에 강동원은 그가 입고 있었던 것을 그대로 재연했으며 마지막 순간까지 그때 사건을 다시 수면으로 올라오게 하여 큰 감명을 주었다. 이 영화 속 주연과 조연들은 실제인물들을 묘사하여 1987년 민주화항쟁의 살아 있는 역사를 다시 부활하게 만들었다. 이들로 인해 현재 극장가는 눈물바다가 됐다. 이 영화 본 필자 역시 눈가에 눈물이 고였다.
이 영화에서 말하고자 요지는 전두환정권은 국민의 대통령 간선제 요구를 거부했고, 개헌논의를 금지하게 조치를 하는데 있어서 절대적 반공주의가 필요했다. 독재 장기집권을 위해 사회전반에 있었던 모든 사건을 조작하고 은폐하고자 했다.
이 기점으로 대학가와 노동현장 그리고 정치와 사회 전반에 1987년 6월 10일 6월 항쟁이 시작됐다. 이 사건이 발생 하기전 1987년 1월 박종철고문치사사건이 일어났다. 이 민주화 시위는 무력진압을 하려는 군 정권의 실태가 세계 언론에 알려지게 된 셈이다.
또 6월9일 민주화 운동에 참가했던 연세대 이한열 학생이 최루탄에 맞아 사망했으며 두 젊은 청년들의 죽음으로 6월 항쟁에 민주화의 불화살을 당기게 하여 전국적인 민주화 운동으로 이어졌으며 지금은 촛불로 다시 승화되어 이어가고 있다. 그때 당시 이 사건으로 인해 전두환정권이 무너지게 된 도화선이 된다.
우리는 뼈아픈 역사를 되풀이 해서는 결코 안 될 것이다. 아무리 좋은 이데올르기의 관념이 있어도 그 사건에 휘말리어 사람이 죽거나 많은 사람들이 다치면 그것 좋은 것이 아니다. 총과 칼의 독재 무력으로 국민을 죽음에 이르게 한 이데올르기의 관념은 사라져야 한다. 인간존엄이 먼저이며 자유와 권리 그리고 민주화의 의무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몫이며 주권이다. 우리의 민주화 르네상스는 과거 뼈아픈 역사 속에서 다시 피어오르기 했다. 이 영화가 다시 한 번 숙연하게 만든다.
송일훈 박사(동아시아 무예전쟁사·문화교류정책 평론가)
전)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전)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 연구교수
현)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 전임연구원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