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시는 창의도시(음악창의도시), 기록유산(국체보상운동기록물), 문화유산(도동서원) 모두를 보유한 도시로 국제도시로 비상하기 위한 발판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
[대구=세계타임즈 한성국 기자] 대구광역시의회 김지만 의원(기획행정위원회, 북구2)은 9월 25일(수) 제269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대구가 보유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의 의미를 돌아보고 선정 유산을 도시브랜드 차원의 보존과 활용다각화에 대해 이야기 한다.
김지만 의원은 5분 자유발언 서두에 대구는 유네스코 음악창의도시(창의도시), 국채보상운동 기록물(기록유산), 달성군의 도동서원(문화유산) 모두를 보유한 유네스코가 인정한 도시임을 강조하고 유네스코 문화자원을 도시브랜드 개발의 중심으로 두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대구시는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 준비 단계에서는 매우 적극적인 홍보와 다양한 노력을 보여 온 반면, 선정 후 에는 체계적 보존계획이나 도시차원의 홍보계획 등이 수립되지 않고 있어 아쉽다는 것이 김 의원의 주장이다.
또한, 대구시는 유네스코에 관한 조례로 「대구광역시 음악창의도시 육성 및 지원조례」가 제정되어 있으나 ‘국채보상운동 기록물’과 ‘도동서원’의 경우 관련 조례가 없어 보존 및 육성의 사각지역에 놓여 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3가지 유네스코 문화유산의 연계성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도 주장했다. 예를 들어 도동서원에서 유네스코 음악창의도시 교류음악회를 진행하거나 국채보상기념식과 연계한 국제 역사 문화포럼을 개최하는 등의 협력프로그램은 대구가 보유한 2가지 이상의 유네스코 문화유산을 동시에 홍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효과성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금번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대구 유네스코 문화유산 보존.육성의 필요성을 강조한 김지만 의원은 “우리 대구시는 유네스코가 인정한 문화.역사.환경의 도시이다. 이것은 대구가 국제적인 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이자 시작점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도시차원의 브랜드로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고 이야기 했다.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